2024년 강선류 생산·판매 전년比 9.1%, 10.8% 감소

2024년 강선류 생산·판매 전년比 9.1%, 10.8% 감소

  • 철강
  • 승인 2025.02.17 08:27
  • 댓글 0
기자명 엄재성 기자 jseo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車 생산 감소·건설 경기 부진 및 수출국 경기 침체에 아연도경강선 제외 전 품목 판매 감소

LNG선박 등 친환경선박 생산 증가와 일부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호조에도 내수 소비 부진에 따른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생산 감소, 고금리와 긴축 재정에 따른 건설 경기 장기 침체, 중국과 주요 선진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 및 제조업 경기 둔화,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 등으로 인해 국내외 수요가 감소하면서 지난해 강선류 생산 및 판매 감소세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24년 강선류 생산 및 판매는 각 136만1,715톤, 125만4,207톤으로 전년 대비 9.1%, 10.8% 감소했다. 내수는 98만1,007톤으로 전년 대비 12.8% 감소했고, 수출은 27만3,200톤으로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와 수출국들의 자동차 부문이 호조를 보인 수출에 비해 내수의 감소 폭이 더욱 컸다.

품목별로 보통강강선의 경우 철선과 아연도금철선, 경강선과 아연도경강선, CHQ강선의 생산은 각 16만3,884톤, 4만2,812톤, 17만3,302톤, 2만7,352톤, 18만273톤으로 전년 대비 25.4%, 13.9%, 3.2%, 1.6% 0.9% 감소했고, 판매는 아연도경강선은 2만2,759톤으로 전년 대비 31.9% 증가했으나 철선과 아연도금철선, 경강선과 CHQ강선은 각 12만1,061톤, 3만1,145톤, 17만3,346톤, 17만5,894톤으로 전년 대비 28.3%, 15.4%, 3.1%, 2.6% 감소했다.

각 품목의 내수는 아연도경강선의 경우 1만6,477톤으로 전년 대비 22.8% 증가했으나 철선과 아연도금철선, 경강선과 CHQ강선은 각 12만783톤, 2만3,251톤, 8만4,510톤, 17만4,415톤으로 전년 대비 28.5%, 14.3%, 14.7%, 2.9% 감소했고, 수출은 아연도금철선의 경우 7,894톤으로 전년 대비 18.5% 감소했으나 철선과 경강선, 아연도경강선 CHQ강선은 각 278톤, 8만8,836톤, 6,282톤, 1,479톤으로 전년 대비 195.7%, 11.1%, 64.0%, 57.2% 증가했다. 그리고 기타강선은 2년 연속으로 생산 및 판매가 전혀 없었다.

아연도경강선의 경우 전반적인 경기 부진에도 기저효과로 인해 생산 및 판매가 오히려 증가했고, 자동차부문의 비중이 높은 경강선과 CHQ강선은 상대적으로 생산 및 판매 감소 폭이 크지 않았다. 반면 건설 비중이 높은 철선과 아연도금철선은 생산과 판매가 모두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내수는 부진했던 반면 수출의 경우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확대와 주요국들의 자동차 생산 증가로 인해 증가세를 보였다.

보통강강선 전체 생산 및 판매는 각 58만7,623톤, 52만4,205톤으로 전년 대비 10.7%, 10.0% 감소했고, 내수판매는 41만9,436톤으로 전년 대비 14.1% 감소한 반면 수출은 10만4,769톤으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

특수강강선의 경우 PC강선과 STS강선, 비드와이어와 (특)CHQ강선 생산은 각 9만3,334톤, 6만5,123톤, 7만1,500톤, 54만4,135톤으로 전년 대비 26.8%, 7.0%, 13.3%, 2.8% 감소했고, 판매는 9만7,322톤, 6만3,082톤, 7만800톤, 49만9,428톤, 0톤으로 전년 대비 24.7%, 5.9%, 13.9%, 8.2% 감소했다.

내수의 경우 비드와이어의 경우 1만8,300톤으로 전년 대비 13.7% 증가했으나 PC강선과 STS강선, (특)CHQ강선은 각 7만3,178톤, 3만1,365톤, 43만8,728톤으로 전년 대비 29.0%, 10.2%, 9.3% 감소했다. 수출은 PC강선과 STS강선, 비드와이어와 (특)CHQ강선이 각 2만4,144톤, 3만1,717톤, 5만2,500톤, 6만700톤으로 전년 대비 8.0%, 1.2%, 20.6%, 0.01% 감소했다.

기타특수강선은 전년과 달리 생산 및 판매가 전혀 없었고, 자동차와 기계 부문 비중이 높은 (특)CHQ강선과 STS강선의 생산 및 판매는 상대적으로 감소 폭이 작았던 반면 건설 비중이 높은 PC강선과 중국 등 신흥국과의 경쟁이 심화된 비드와이어의 생산 및 판매는 두 자릿수의 감소율을 보였다.

특수강강선 전체 생산 및 판매는 각 77만4,092톤, 73만2톤으로 전년 대비 7.8%, 11.3% 감소했고, 내수판매 및 수출은 각 56만1,571톤, 16만8,431톤으로 전년 대비 11.9%, 9.1% 감소했다.

한편 2025년에는 국내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동차와 조선 생산이 둔화되고, 주력산업 경기 부진으로 기계 및 플랜트 부문 수요도 감소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주의 강화로 대외 여건도 악화되면서 강선류 생산 및 판매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