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이달 소송 절차 늦추며 대화 의지

일본제철 측이 미국 정부와 US스틸 인수에 관해 상호 이해에 이르고 있다고 전했다.
이마이 타다시 일본제철 사장은 24일(현지시각) “미국 정부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는 미국 철강 산업과 제조업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는데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지분 매입과 미래 투자 계획 측면에서 미국 정부와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협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적 세부 사항에 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미국 법무부는 이달 중순, 일본제철이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의 US스틸 인수 불허 결정에 불복해 미국 행정부 등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정부 답변서 제출 기한을 21일, 구두 변론 기일도 기존 내달 24일에서 5월12일로 늦춰달라고 요청했다. 법무부 관계자는 “사법적 방식을 피하고 당사자 간 이어지고 있는 대화를 완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제철 측도 절차가 늦춰지는 것에 동의를 표한 만큼 양측에게서 사법부의 판단이 있기 전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0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관할 법원이 해당 요청을 받아들였고 양측의 대화는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본제철은 2023년 12월 US스틸을 인수하기로 US스틸 이사회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일본제철은 US스틸 보통주 전량을 주당 55달러에 매입하기로 했다. 총 거래 규모는 약 149억 달러(21조9천억 원)에 이른다.
인수 시도는 곧장 반발에 부딪혔다. 전미철강노조는 일자리와 고용 안정성에 대한 우려와 인수 과정에서 노조와 협의가 없었다는 점 등을 언급하며 인수를 반대했다.
정치권도 반대에 나섰다. 바이든 당시 미국 대통령,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후보 모두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반대했다. US스틸 본사가 있는 펜실베이니아주는 대선에서 승패를 가를 수 있는 핵심 지역으로, 이 주의 표심을 얻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결국 올해 1월 초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안보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며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불허한다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일본제철은 즉각 반발했다. 일본제철과 US스틸은 같은 달 6일 미국 정부 등을 상대로 “인수 불허 결정이 국가 안보 우려에 관한 신뢰할 만한 증거 없이 이뤄졌다”며 해당 결정을 무효화해 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미 행정부 수장이 바뀐 이후 트럼프 대통령 등을 통해 일본제철이 인수 대신 다른 투자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렸으나, 일본제철 측은 인수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거듭 밝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