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시장 다변화와 국내 생산 지원으로 피해 최소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현지시간 7월 30일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수입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내 동산업계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
산업부(장관 김정관)는 1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 주재로 비철금속협회(회장 도석구)와 주요 구리 수출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구리 232조 관세 부과 긴급 영향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는 LS MnM, 풍산, 대창, 대한전선, KBI메탈, 이구무역 등 주요 구리 제품 제조·수출 기업과 관련 협회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미국의 고율 관세 조치가 품목별로 미치는 영향이 상이해 일률적 대응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의 맞춤형 지원과 협력을 요청했다.
나성화 정책관은 “미국이 지난 2월 구리 관세 행정명령을 발표한 이후, 정부는 업계 의견을 반영한 공식 의견서를 미국에 제출하고 공급망 안정화 선도사업자로 구리 기업을 추가 지정하는 등 경쟁력 유지를 지원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관세 부과로 대미 수출 물량 감소는 불가피하겠지만, 수출시장 다변화와 국내 생산 지원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미국 관세 시행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업계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비철금속협회를 통합 창구로 지정하고, 품목별 영향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추가 지원 방안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