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6개 점검 포인트 순찰하며 위험 요소 실시간 감지
사고 위험 지역 선제적 관리로 무재해 현장 구현 목표
드론·자율주행차량과 연계한 통합 점검 시스템 장기 추진

고려아연(회장 최윤범)이 온산제련소의 현장 안전과 관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세계적인 로봇 제조사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을 도입했다고 5일 밝혔다. 전 세계 제련소 중 최초로 스팟을 도입한 온산제련소는 이를 통해 ‘스마트 제련소’ 구현에 한층 가까워졌다.
스팟은 사람이 접근하기 위험하거나 어려운 구역을 대신 순찰하며 초음파 센서, 적외선 카메라, 유해가스 감지기, 음향 센서 등 다양한 첨단 센서를 활용해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산업용 로봇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브라운대학교, BMW, 미쉐린타이어, 카길, 글로벌파운드리, 오스트리아 시머링 발전소 등 세계 유수 기관 및 기업에서도 도입해 활용 중이다.
고려아연은 스팟을 현장 관리에 투입해 온산제련소 내 466개 점검 포인트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순찰하며 ▲설비 온도 측정과 가스 유출·누액 감지 등 위험 요소 점검 ▲차량 이동 잦은 구간에서 충돌 방지 ▲실시간 정보 공유와 경보 기능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스팟은 상시 운영이 가능해 야간, 주말, 휴일 등 설비 점검이 취약한 시간대에도 고위험 구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 점검 시스템이 구축되어 현장 안전과 관리 효율성이 크게 강화됐다. 또한 스팟이 점검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는 정비 체계 개선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고려아연은 연말까지 스팟의 역할을 가스 중독 및 질식 위험 구간 점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제련소 내 잦은 공정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360도 회전 카메라를 탑재해 설비 구조 및 배관 변화를 시각적으로 추적·관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로써 설비 관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 나아가 열화상 카메라와 가스 정량 측정 센서를 추가로 장착해 실시간 데이터 연동형 제어 시스템과 통합하는 작업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설비 고장을 예측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신속한 경보가 가능한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제련소’로의 진화를 목표로 한다. 장기적으로는 드론, 자율주행 차량 등 AI와 로봇을 결합한 통합 점검 체계 구축도 계획하고 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이번 스팟 도입으로 온산제련소 내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선제적 위험 예방도 가능해졌다”며 “기존 안전 점검 인력들의 업무 피로도가 낮아지고 작업 만족도도 올라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스팟 도입은 안전관리 분야의 혁신을 위한 첫걸음을 뗀 것으로, 앞으로도 무재해∙무사고 현장 구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최신 기술을 도입해 현장 환경을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