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美 달러 약세 유도 정책 가능성 대비해야”

무역협회 “美 달러 약세 유도 정책 가능성 대비해야”

  • 무역·통상
  • 승인 2025.08.13 16:59
  • 댓글 0
기자명 이사무엘 기자 smlee@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달러 환율 10% 하락 시 수출 0.25%↓, 수입 1.31%↑

출처 : 이미지투데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환율이 다음 의제로 부상할 수 있어 원·달러 환율 하락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3일 발표한 ‘트럼프 2기 달러 약세 시나리오 점검 및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 및 제조업 부흥을 위해 달러 약세 유도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 임시 이사로 지명한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의 ‘마러라고 합의’ 구상과 같이 미국이 관세 협상과 환율 협정을 연계해 달러화 가치 하락을 유도하면, 원·달러 환율 하락은 현실화할 수 있다.

미국이 마러라고 합의 또는 주요국 통화 절상을 요구하면,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우리 수출입에 영향은 불가피하다.

원·달러 환율이 10% 하락하면 수출액은 0.25% 감소하고, 수입액은 1.3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은 원화 수익성 방어를 위해 달러 기준 수출가격을 인상해야 하는 유인이 크지만, 이 경우 수출 물량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수입의 경우 원화 환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수입 물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환율 변동성이 1%포인트(p) 확대되면, 수출 물량은 1.54%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변동성이 커지면 불확실성으로 수출기업의 계약 체결이 지연되고, 환 헤지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해 수출 물량이 축소되기 때문이다.

다만, 보고서는 마러라고 합의가 실현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했다. 각국의 통화가치 절상은 수출경쟁력 약화와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어 중국·유럽연합(EU) 등 주요 정부가 이에 공조할 유인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예측 불가능한 무역정책은 정책 신뢰도를 저하해 통화 협정에 대한 합의 도출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봤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마러라고 합의가 아니더라도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주요국의 통화가치 절하를 막기 위해 미국이 통화 강세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며 “환율 하락에 대비해 통화스와프 확대 등 외환시장 안정장치를 강화하고 수출기업의 환리스크 관리를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