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 구성, 독립성과 투명성 강화
자원순환 사업 매출 비중 증가, 신사업 성장 가속화
상반기 사상 최대 매출 기록,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실적 호조

고려아연(회장 최윤범)이 18일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며 ‘밸류업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지난해 영풍과 MBK파트너스의 적대적 M&A 시도에 대응하기 위해 취득한 자사주(자기주식) 잔여분을 올해 안에 소각하고 주주들과 약속을 이행하며 시장의 신뢰를 구축할 계획이다.
회사는 또한 외부 전문 기관의 이사회 평가 도입을 추진하는 등 지배구조 혁신 기조를 변함없이 이어간다는 방침이며, 올해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배당 예측성을 높이기 위해 개정한 정관에 따라 연내 이사회 결의를 거쳐 선배당을 확정하고 구체적으로 안내할 계획이다.
고려아연은 올해 6월과 9월에 각각 자사주 68만10주를 소각했다. 남은 물량은 오는 12월에 소각할 예정이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적대적 M&A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사주 204만30주(발행주식 대비 9.85%)를 전량 소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으로도 주주 및 시장과 약속을 성실히 이행해 주주가치와 기업가치 제고에 최선을 다한다는 구상이다.
자사주 소각에 힘입어 주주환원 지표는 당초 수립한 목표를 순조롭게 달성할 전망이다. 지난해 10월 고려아연은 밸류업 로드맵(2024~2026년)을 발표하고 3년 평균 총주주환원율 40% 이상, 유보율 8,000% 이하 유지 목표를 제시했다.
고려아연은 배당에 있어서도 정부가 추진하는 세법 개정안에 맞춰 고배당 기업 분리과세 특례요건 충족을 목표로 검토 중이며, 올해 3월 주주총회에서 배당기준일 변경을 위한 정관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사회 결의를 통해 선배당금을 결의하고 차기 주주총회에서 이를 확정할 예정이다. 지난 3년간 주당 1만7,5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한 고려아연은 올해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다. 자사주 소각을 포함하면 고려아연의 주주환원율은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배구조 혁신에도 지속적으로 힘쓸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외부 전문 기관을 통한 이사회 평가 제도를 도입하고, 매년 공시하는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을 100%로 끌어올릴 목표를 설정했다. 특히, 고려아연은 창사 이래 최초로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고 이사회 산하 5개 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는 등 이사회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했다.
또한, 고려아연은 투자자와의 소통 채널을 확장해 올해 상반기 사외이사와 최고경영자(CEO) 등 C-레벨이 참여한 투자자 미팅을 53건 개최했다. 이는 2023년 20건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향후 ‘거버넌스 NDR(Non-Deal Road-show)’를 개최하고, 영문 공시 범위와 내용을 확대해 외국인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고려아연은 아연 및 연 업황 악화로 실적 둔화 우려가 있었으나 전략적인 원재료 수급과 귀금속, 전략광물 등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이를 극복했다.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7조6,582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6.9%로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자원순환 사업을 포함한 신사업의 매출 비중도 29%로 전년 대비 11.8%포인트 증가했다.
수익성 개선과 자사주 소각에 힘입어 자본 효율성이 제고됐다. 상반기 사상 최대 매출과 당기순이익을 달성한 데 이어 현재 수준의 실적 추이가 하반기에도 지속된다면 올해 연간 자기자본이익률(ROE) 10%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지난 1년, 영풍과 MBK의 지속적인 적대적 M&A 시도와 기업가치를 훼손시키는 각종 공격에도 전 임직원이 합심해 글로벌 불확실성과 업황 부진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며 회사를 성장∙발전시켜 나가고 있다”며 “주주가치 제고와 지배구조 혁신, 수익성 개선을 지향하면서 밸류업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