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의 중심…이전 시 생존권 위협 우려”
주민 단체 “이전 TF 해체 및 종합대책 마련” 촉구

영풍 석포제련소의 이전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경북 봉화군 석포면과 강원 태백시 등 석포제련소 인근 지역 주민들이 이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히고 결의대회를 예고했다.
봉화군 석포면 주민 500여 명과 태백시 현안대책위원회, 석포주민 생존권 사수 봉화군 협의회 등은 오는 9월 25일 오후 2시,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제련소 이전 추진에 대한 반대의 뜻을 표명할 예정이다.
주민들은 석포제련소가 지난 50여 년간 지역경제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고 주장하며, 제련소 이전이 사실상 폐쇄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곧 생계 기반 약화와 지역 공동체 붕괴로 연결될 수 있다고 크게 우려하고 있다.
환경 문제와 관련해서는 제련소 측이 무방류 시스템, 저황산화 방지시설, 대기 및 수질 개선 설비 등 다양한 환경개선 투자를 이어왔음을 언급하며, 현재의 이전 논의가 환경 개선 차원을 넘어 정치적 판단에 따른 결정일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석포제련소 이전 논의를 지속할 경우 대응 수위를 높이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경상북도에는 석포제련소 이전을 위한 전담팀 해체와 함께 주민 생존권을 고려한 종합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한편, 영풍 석포제련소는 1970년 설립 이후 반세기 넘게 봉화군과 태백시 등지의 지역 고용과 경제를 이끌어 온 대표적 산업시설이다. 과거 환경오염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으나 최근 수년간 환경 개선 투자가 이뤄지며 대기, 수질, 토양 전반에 걸쳐 개선이 진행돼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경단체와 정치권, 행정당국은 제련소 이전 및 폐쇄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에 대해 지역사회에서는 생존권 위협과 경제적 타격을 이유로 강력한 반발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투쟁선언문 전문
우리의 마지막 목숨줄인 영풍석포제련소 이전 및 폐쇄 음모를 당장 멈춰라!!
존경하옵고 현명하신 봉화군민과 태백시민, 석포면민 여러분께 선언합니다. 낙동강 상류환경 피해주민대책위원회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낙동강 석포제련소 TF팀은 환경을 빌미삼아 영풍석포제련소 이전 및 폐쇄를 논하고 있으며 국민권익위의 일방적 해석은 상당히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상당한 고충을 안겨 주고 있습니다.
중앙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어처구니없는 일방적인 주장에만 몰두하여 영풍석포제련소 이전·폐쇄 계획을 추진하려는 작태는 우리 지역의 생존권을 송두리째 빼앗는 폭거이며, 지역주민을 무시하는 일방통보에 불과 합니다.
사태의 진실과 다른 내용들이 알려지면서 석포주민의 생존권과 재산권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음을 엄중히 인식하여야 합니다.
제련소 또한 주민들에게 어떠한 입장도 밝히지 않아 주민들의 불안감은 더더욱 커져가고 있습니다. 국가기관은 환경단체들의 농단에 놀아나고 석포주민들의 피폐해진 삶에는 관심이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환경단체들로부터 시작된 우리의 파괴된 삶을 복원하고 지켜내야 합니다.
지금까지 살얼음판을 걷듯이 불안하게 생존권을 지켜 왔습니다. 이제는 반드시 지켜야 하며 피비린내가 나도록 전쟁을 할 때입니다.
지금 바로 이순간 봉화군민과 태백시민, 석포주민 모두가 대동단결하여 재산권과 생존권을 위한 투쟁이 필요할 때입니다. 경북도의 석포제련소 이전 TF팀은 이전지 타당성 조사 및 종합대책수립이 진행중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분노 하지않을 수 없습니다.
중앙정부의 작태와 폭거는 지역주민을 무시하는 일방 통보에 불과합니다. 이전이라고 말하지만 사실상 폐쇄입니다.
이에 우리 현안대책 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1. 어떠한 이유라도 우리의 재산권과 생존권을 침해하는 행위와 단체들에 대해서 석포주민 모두가 연대하여 피비린내가 나는 전쟁을 선포한다.
2. 경북도와 중앙정부는 영풍석포제련소 이전·폐쇄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
3. 경북도는 영풍석포제련소 이전을 위한 TF팀을 즉각 해체하고 이철우 도지사는 석포주민에게 입장표명을 명확히 하라.
4. 영풍 석포제련소는 행정명령 이행과정을 주민들에게 낱낱이 공개하고 이전·폐쇄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 문서화 하라.
5. 환경부와 국회는 70년대부터 국가 기반에 이바지한 기업을50여년 동안 방치하고 이제와 환경을 빌미로 이전과 폐쇄를 주장하는 이유를 밝히고 그동안 석포주민이 입은 피해를 보상하고 대책을 마련하라.
우리를 위협하는 모든 것에 목숨을 걸고 싸울 것이며 우리는 생존권과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죽기를 각오하고 투쟁을 실천할 것입니다.
“석포주민 생존권 사수 투쟁! 승리”
2025년 9월 25일 석포면현안대책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