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감산 및 봉쇄조치, 러-우 전쟁 여파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수출 증가 실리콘·망가니즈 계열 합금철 위주 수출 증가, 1분기 수출 증가세 지속 전망
지난해 총수입 838만톤 전년比 63.1%↑ 하반기 수입 급증…2012년 이후 최대
NSSP, 2월 전체 STS강관價 5% 인상...몰리브데넘 강종은 15%↑ 일본제철, 3월 계약분 심리스 STS價 20% 인상...10개월 만에 인상
인프라 및 자동차 부문이 수요 견인, 수출은 유럽 및 아세안 경기 회복 여부에 달려
수요 강세 속 원료 공급 안정화 바탕으로 조강 생산 및 수출 확대 예상
수입 전년比 65% 증가, 수출은 45% 감소, 1분기 수출·수입·생산·소비 모두 증가 예상
대외 악재 및 내수 둔화로 2023 회계연도 철강 소비 증가율은 6~7%로 하락 전망
2022 회계연도 2분기 영업이익 9분기 만에 최저치 기록, 향후 철강 완제품 수출 둔화 지속 예상
9월 84만8,000톤…전년比 144.8%↑ 2015년 12월 이후 최대
中 감산 및 봉쇄조치, 러-우 전쟁 여파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수출 증가 실리콘·망가니즈 계열 합금철 위주 수출 증가, 4분기 수출 증가세 지속 전망
10월 수출 36만 톤, 비합금강·합금강 및 STS 수입 각 69%, 41% 증가
1~8월 수입 전년比 5.0%↑ 2년 만에 총수입 증가 전환 눈길
압연 등 다운스트림 알루미늄 수입의 85% 중국發 값싼 가격에 현지 산업계 시장교란 등 우려 印 향후 2년간 알루미늄 생산능력 12% 확장 전망
‘일관제철소 자문위원회’ 설치 및 페로니켈·페로실리콘 ‘품질 관리 명령’ 시행
내수 경기 회복에 조강 생산 및 철강 소비는 각 전년比 7%, 11% 증가
1~7월 312만7,000톤 전년比 1% 증가 미국 등 주요국 수입 주춤…남아공·예멘 급증
러-우 전쟁, 中 경기침체, 美 통화 긴축 등 대외 악재에 세계 철강 수요 감소 글로벌 철강 가격 약세 및 공급 확대에 인도 내 철강 가격도 하락 예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수출 증가 실리콘·망가니즈 계열 합금철 위주 수출 증가, 3분기 수출 감소 후 9월부터 반등 예상
에너지, 자동차, 건설 등 분야에서 중간재 수요 동반 성장 추세 저가 대량생산 제품보다 현지 밸류체인 진입 위한 고기술·고품질 제품 공급 주력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