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기업 보다 지방 소재 기업이 체감 더욱 심해"
전국 중소기업 3곳중 1곳이 연구개발(R&D)인력 부족에 따른 신제품 개발 차질에 힘겨워 하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철강업종의 R&D인력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중소 제조업체 407곳을 대상으로 R&D 인력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기업의 33.7%가 ‘현재 R&D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종별 조사에서 철강업종과 기계업종이 각각 35.1%, 41.9%를 차지해 R&D인력 부족에 따른 신제품 개발 부재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전자(33.9%), 화학(33.3%), 자동차부품(29.6%), 조선(29.2%), 반도체(29.0%) 등의 순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지방 소재 기업의 35.0%가 R&D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으며 수도권 기업은 32.1%였다.
전체 응답기업의 24.1%가 ‘R&D 인력 부족으로 신제품 개발에 차질을 빚은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R&D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한 기업들의 경우 이 비율이 54.0%에 달했다. 또 중소 제조업체들은 현재 평균 12.1명의 R&D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1년 내 신규 R&D 인력 충원에 나서겠다’는 기업이 44.7%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응답기업의 48.6%는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인력 채용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지방 소재 기업의 39.9%는 ‘지방근무 기피현상 때문에 채용에 곤란을 겪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