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9월 전력난 영향 불가피
금년 생산량 6억8,000만톤 넘어설 것
중국의 철강 수요가 2015년까지 최대 25%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29일(현지시간) 루오 빙셩 중국철강협회(CISA) 부회장은 베이징에서 개최된 한 포럼에서 "중국의 철강 소비가 2015년까지 12~25% 증가한 6억7,000만~7억5,000만톤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 같은 전망이 "제12차 5개년계획 기간에 해당하는 2015년까지 경제 성장률이 연평균 8~9%에 달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루오 부회장은 또 "철강 산업이 에너지가 많이 드는 업종"이라며 "6~9월 전력난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중국이 지난 30년 연평균 10%의 고도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철광석과 구리, 석탄 등 원자재에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
중국 정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조강 생산량도 전년에 비해 9.6% 늘어나 6억2,700만톤을 기록했는데 루오 부회장은 금년 생산량이 6억8,000만톤을 넘어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가 CISA 웹사이트상 수치를 근거로 계산한 결과 중국의 철강소비는 비축용을 포함해 지난 2006 ~2010년 기간 연평균 17% 늘어났다. 그러나 향후 5년간의 경우엔 경제성장의 둔화로 인해 증가 속도가 연 2.6%로 크게 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CISA가 지난 4월 전망한 바 있다.
그는 또 원료비 인상으로 철강업의 평균 마진이 2.9%에 불과하다면서 이에 따라 CISA 회원인 중국 77개 대형 철강사들의 금년 1분기 순익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1% 감소, 329억 위안(51억달러)에 그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