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비철금속 일일시황 [유진투자선물]

7일 비철금속 일일시황 [유진투자선물]

  • 비철금속
  • 승인 2011.06.07 18:35
  • 댓글 0
기자명 정호근 hogeun@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전일 동향
  대부분 메탈 상승 마감. 이는 대표적인 메탈금속인 전기동 2일 연속 상승하며 상승흐름 리드. 특히, 전일에는 공급차질 등과 같은 펀더멘탈 재료가 크게 작용함. 한편, 유로존 문제가 글로벌 경기둔화 자극. 달러강세와 글로벌 증시 하락으로 상승폭 제한됨.
 
  유로화대비 달러강세. 이는 그리스에 대한 2차 구제금융 불확실성과 EU 재무장관 의장의 유로화 고평가 발언 등에 영향받은 듯. 달러/유로는 1.4635에서 1.4576으로 하락함. ECB, Smaghi 이사는 그리스 채무구조조정에 반대. 채무구조조정을 현명하지 못한 방식으로 실행에 옮길 경우, 납세자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엄청난 손실 초래할 것. 채무구조조정을 구제금융 추가지원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이용해서는 안 되며, 최후의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언급.

  국제유가 하락. OPEC이 유가 안정을 위해 증산을 할 것이란 전망에 영향받은 듯. WTI는 배럴당 100.56달러에서 99.01달러로 하락.
 
  정치적 리스크로 메탈생산 차질 우려. 이는 페루 좌파정권이 당선되었기 때문. 페루 대선에서 좌파정권이 당선된 가운데 광산 세금인상 등 규제조치로 페루의 주요 비철금속 생산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 페루는 세계 2위 구리 및 아연 광산생산 국가이며, 세계 4위 납 광산생산 국가. 현재 좌파 대선 당선자 Humala는 대선에 당선될 경우 광산자원의 국유화를 추진할 수 있다고 언급. 2010년 페루의 구리 광산생산은 전 세계 생산량의 7.9%, 납 광산생산은 전 세계 생산의 6.8%, 아연 광산생산은 전 세계 생산의 12.7%를 차지함.

* 전기동
  El Teniente, 파업 지속. 세계 구리 광산생산 순위 7위 광산(2008년 기준)인 칠레 El Teniente 광산의 파업이 칠레 현지시간으로 월요일까지 지속되고 있음. El Teniente 구리광산의 계약직 노동자들은 개선된 노동조건을 요구하며 지난주부터 파업을 진행. 한편, 현재 파업에 따라 본 광산의 가동률은 40%까지 내려간 것으로 보임.

  LME(3M) 전기동 가격 전일대비 0.40% 상승한 $9,135. 창고재고량은 전일보다 2,225톤 증가한 475,700톤. Cancelled warrants는 18,900톤.

* 금일 전망
채워진 연료, 하지만 여전히 부족....
  다시 $9,000선 회복. 불안감 속에서도 상승전환했던 전기동 가격은 지난주 다시 급락. 한 때 $9,000선마저 깨짐. 물론, 지난주 금요일 다시 상승하며 하락세로의 전환은 막았지만, 여전히 불안감은 남아있는 상황. 그래도 다행인건 감소만했던 투기적 매수가 증가했다는 점. 지난주 CFTC, 투기적(비상업적) 매수 계약 수가 증가 전환(그림 1). 반면, 투기적 매도 계약 수는 감소했음.

  물론, 투기적 매수 계약 수 증가가 만족스러운 것은 아님. 단지, 감소세가 멈춘 것뿐, 만족할만큼 증가하진 못했음. 여전히 부족한 상황. 그나마 상업적 매수 계약 수가 증가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
한편, 칠레 El Teniente 광산의 파업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 이는 공급차질 우려를 심화시켜 전기동 하락 가능성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상승세에 도움을 줌.

글로벌 경기둔화와 中 추가긴축
  하지만 문제는 글로벌 경기둔화에 대한 불안감에 계속되고 있다는 점. 여전히 그리스 등의 유로존 문제는 안개 속을 헤매고 있으며, 美 QE2 이후에 대한 불암감까지 시장을 자극하고 있음.

  거기에 이번주 중국이 금리 및 지급준비율을 인상할 것으로 전망한 점도 메탈 상승을 제한 할 듯.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다음주 중국 5월 CPI 발표 이전에 과잉유동성 흡수와 인플레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 조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음.

  그렇지만 중 긴축에 대한 우려는 일시적인 악재.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 이미 어느정도 예상되기 때문. 지난 4월 18일 시황에서도 언급했듯이 메탈가격은 중 긴축우려로 하락했지만 대부분 다시 상승함.
결국, 지금 중요한 건 글로벌 경기둔화를 자극하는 악재들. 이들 악재들의 해결 가능성이 커져야만 상승흐름 이어갈 수 있을 듯.

예상레인지: $9,000~9,200.

*상세내용 첨부자료 참조

*자료제공:유진투자선물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