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리가 2012년 강관 전망에 대해 내수 정체, 수출 급증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11일 포스리는 철강수급전망을 통해 2012년 강관 내수판매는 건설 및 조선경기 침체 지속으로 전년동기대비 10.3% 감소했으나 하반기부터 건설경기가 소폭 개선되면서 전년대비 0.3%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강관 수출은 고유가 지속, 미국 경기의 완만한 회복, 국내 강관업계의 새로운 수출 판로 개척 노력 등으로 20%대의 높은 성장성을 지속할 것으로 봤다.
■ 2012년 내수
포스리는 2012년 강관 내수판매가 하반기 이후 건설경기의 개선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부진으로 전년비 0.3% 증가한 345만6,000여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 산업이 공공부문의 예산 조기집행으로 인해 공사 발주가 증가하겠지만 건설산업의 더딘 회복과 조선의 장기 침체가 상승폭을 제한할 것으로 봤다.
■ 2012년 수출
2012년 강관수출은 대외적으로 미국 경기의 완만한 회복과 고유가에 따른 에너지용 수요 확대, 대내적으로 내수 침체 지속에 따른 강관업계의 새로운 수출 판로 개척 노력 등에 힘입에 전년대비 25% 증가한 300만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근거로 ▲미국의 중국산 강관 수입 규제에 따른 반사이익 지속 ▲중동 및 미국의 석유 및 가스개발 증가에 따른 강관 수요 증가를 들었다.
■ 2012년 수입
2012년 강관 수입은 내수 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중국산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전년대비 유입으로 전년대비 20.6% 증가한 93만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 2012년 생산
2012년 강관 생산은 수출 호조 및 하반기 이후 건설경기 소폭 개선으로 전년대비 8.9% 증가한 552만5,000여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리 수급전망 - 2012년 1/4분기> |
||||||||||||||||
(단위 : 톤 / %) |
||||||||||||||||
|
상반기 |
2011 |
2012 |
2013 |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하반기 |
|||||||||||
3분기 |
4분기 |
|
1분기 |
2분기 |
|
3분기 |
4분기 |
|
1분기 |
2분기 |
|
|||||
총수요 |
천톤 |
2,976 |
1,379 |
1,489 |
2,868 |
5,844 |
1,459 |
1,749 |
3,208 |
1,569 |
1,678 |
3,248 |
6,456 |
1,612 |
1,956 |
3,568 |
전년비 |
7.6 |
10.0 |
4.2 |
6.9 |
7.3 |
3.8 |
11.3 |
7.8 |
13.8 |
12.7 |
13.2 |
10.5 |
10.5 |
11.8 |
11.2 |
|
전기비 |
11.0 |
-12.2 |
8.0 |
-3.6 |
7.3 |
-2.0 |
19.9 |
11.8 |
-10.3 |
6.9 |
1.2 |
10.5 |
-3.9 |
21.3 |
9.9 |
|
명목 |
천톤 |
1,842 |
772 |
830 |
1,602 |
3,444 |
804 |
963 |
1,768 |
820 |
869 |
1,688 |
3,456 |
829 |
981 |
1,810 |
전년비 |
-2.2 |
6.1 |
-6.8 |
-1.0 |
-1.7 |
-10.3 |
1.9 |
-4.0 |
6.2 |
4.6 |
5.4 |
0.3 |
3.1 |
1.8 |
2.4 |
|
전기비 |
13.8 |
-18.4 |
7.6 |
-13.0 |
-1.7 |
-3.1 |
19.8 |
10.3 |
-14.9 |
6.0 |
-4.5 |
0.3 |
-4.5 |
18.2 |
7.2 |
|
수출 |
천톤 |
1,134 |
608 |
659 |
1,266 |
2,401 |
655 |
785 |
1,440 |
750 |
809 |
1,559 |
3,000 |
782 |
975 |
1,758 |
전년비 |
28.5 |
15.4 |
22.5 |
19.0 |
23.3 |
28.5 |
25.7 |
27.0 |
23.4 |
22.9 |
23.1 |
25.0 |
19.5 |
24.2 |
22.0 |
|
전기비 |
6.6 |
-2.7 |
8.4 |
11.6 |
23.3 |
-0.5 |
19.9 |
13.8 |
-4.5 |
7.9 |
8.3 |
25.0 |
-3.3 |
24.6 |
12.7 |
|
생산 |
천톤 |
2,608 |
1,169 |
1,296 |
2,465 |
5,073 |
1,284 |
1,494 |
2,778 |
1,303 |
1,445 |
2,748 |
5,525 |
1,430 |
1,677 |
3,108 |
전년비 |
4.6 |
6.2 |
2.8 |
4.4 |
4.5 |
3.2 |
9.5 |
6.5 |
11.4 |
11.5 |
11.5 |
8.9 |
11.4 |
12.3 |
11.9 |
|
전기비 |
10.4 |
-14.3 |
10.8 |
-5.5 |
4.5 |
-0.9 |
16.4 |
12.7 |
-12.8 |
10.9 |
-1.1 |
8.9 |
-1.0 |
17.3 |
13.1 |
|
수입 |
천톤 |
368 |
210 |
193 |
403 |
771 |
175 |
255 |
430 |
267 |
233 |
500 |
930 |
182 |
279 |
460 |
전년비 |
34.9 |
37.6 |
14.8 |
25.7 |
29.9 |
8.3 |
23.7 |
16.9 |
27.1 |
20.7 |
24.0 |
20.6 |
3.6 |
9.3 |
6.9 |
|
전기비 |
14.8 |
1.7 |
-7.9 |
9.5 |
29.9 |
-9.3 |
45.5 |
6.8 |
4.6 |
-12.5 |
16.2 |
20.6 |
-22.2 |
53.5 |
-8.0 |
|
자료 :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