相生, 거래관계 정상화가 먼저

相生, 거래관계 정상화가 먼저

  • 철강
  • 승인 2013.05.06 06:50
  • 댓글 0
기자명 이광영 kylee@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광영 기자
  최근 중소기업 분야인 철근 가공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제강사 측의 무리한 가공단가 인하와 로스(Loss)율 허용치 등으로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철근 가공업은 본래 특정 프로젝트의 설계 후 발생하는 건설사업 일부이며 전문 분야다. 따라서 철근 가공은 제강사의 철근 생산·판매와는 사업 목적상 명백히 구분되는 내용이다. 결론적으로 최근 제강사의 가공업 진출은 중소기업 시장에 발을 들인 것이나 마찬가지다.

  제강사의 진출에 따른 장점도 있다. 제강사 관계자에 따르면 이전에는 가공 공장은 건설사와 직접 계약이 드물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업의 몫은 제강사가 맡게 됐고 가공시장 규모는 크게 확대됐다. 최근 우려되는 부도 여파도 제강사가 직접 받아 부담이 덜해졌다.

  가공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수익성 문제다. 수익성은 가공비 책정과 로스율 허용치에 따라 판가름 난다. 최근 일부 제강사와 이 부분의 현실화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가공업계에서는 현재 적정 가공단가를 톤당 3만5,000원(SD400~500·운반비 제외)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 계약은 톤당 3만3,000원 수준에 이뤄지고 있다. 다만 일부 제강사가 유독 2만7,000~2만8,000원의 가공비를 요구하고 있으며 일부 가공업체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계약한 내용을 근거로 다른 제강사까지 추가 인하를 요구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실정이다.

  가공업계는 겉으로만 상생협력을 외치면서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모 제강사의 이중성에 대해 분노하고 있다. 실제로 모 제강사는 힘의 논리로 중소 철근 가공업계를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고 지속적인 대화 시도에도 이를 거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제강사와 철근 가공업계의 상생협력은 대기업 일방의 희생을 요구하는 게 아니다. 거래 관계의 정상화에서 출발해야 한다. 대등한 협상이 가능하도록 공정하고 자유로운 시장질서부터 확립해야 할 것이다.
더 가진 제강사는 마주 보는 당사자, 함께 가는 동반자로서 중소기업 가공업계를 인정해야 한다. 상생협력을 주창하면서 불공정 하도급 관계와 다름없는 요구를 강요하는 이율배반적인 태도는 가공업계를 두 번 죽이는 기만이다.

  철근 가공 현장에서 느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체감온도는 아직 싸늘하기만 하다. 갑인 제강사의 성과나 경쟁력은 혼자 잘한다고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다. 을인 중소기업 역시 혜택만 보고 돌아서는 일이 없어야 한다. 언젠가 맞게 될 제강사와 철근 가공업계의 ‘갑을동주(甲乙同舟)’ 시대를 염원해 본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