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특구委 심의만 남아
경상남도 고성군 조선특구의 조선해양산업특구로 변경이 곧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경남도와 고성군은 지난 22일 세종시 해양수산부 청사에서 열린 중앙연안관리심의회에서 조선해양특구변경을 위한 공유수면매립에 관한 심의를 통과했다고 24일 밝혔다.이로써 고성조선특구에서 조선해양산업특구로의 변경은 오는 9월 말로 예정된 중소기업청 소관 특구위원회 심의만 마치면 최종 확정된다.
경남도와 고성군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해양특구 변경이 이뤄지면 고성 조선산업은 또 다른 도약의 발판을 만들게 된다.
침체되는 조선경기로 인해 경제 활성화에 큰 타격을 받은 고성군은 조선산업의 변화를 통한 고성경제 살리기를 위해 2013년 조선산업특구를 해양산업특구로 변경하는 계획안을 제출했다.
동해면 일원의 3개 지구 중 현재 활발히 움직이고 있는 내산지구(삼강엠앤티)와 장좌지구(고성조선해양) 265만㎡를 388만㎡로 늘려 세계 조선산업에서 비중이 커지고 있는 해양플랜트 생산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후 고성군은 군의회의 의견을 들은 후 지난해 12월 20일 중소기업청에 특구계획 변경 승인을 신청했다.
올 1월 국토부 도시정책과로부터 보완 통보를 받은 고성군은 해수부와 국토부 등 40여개 중앙부처와 협의를 거쳤고 지난 5월 8일 가장 힘든 과정 중의 하나인 국토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과정을 통과했다.
조선특구가 조선해양산업특구로 변경되면 조선업은 경쟁력 있는 해양플랜트사업으로 변환이 가능해지고 삼강엠앤티와 고성조선해양 양대 조선소의 활성화는 물론 3,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과 3조2,467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