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100년 이상…유지관리 비용 20% 절감 가능”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은 물이나 공기에 부식되지 않는 ‘FRP 하이브리드 보강근’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보강근은 콘크리트 벽이나 바닥, 보 등의 성능강화를 삽입되는 철근을 말한다. 콘크리트와 혼합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시설물 건조에 흔히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시설물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일반적인 시공방법이다. 콘크리트의 압축 저항능력과 철근의 인장 저항능력이 결합돼 서로의 결점을 보완해주고 내화성, 내구성, 내진성을 갖췄고 풍압에 강하며 경제적 효율도 좋다.
하지만 물과 공기에 닿으면 쉽게 부식된다는 단점이 있다. 철근이 부식되면 팽창하게 되는 성질이 있어 철근을 둘러싼 콘크리트에 균열과 파손이 발생한다.
KICT 박기태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FRP 하이브리드 보강근’은 기존의 철근과 유리강화섬유(GFRP,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를 합성해 부식 방지는 물론 인장성능이 최대 수십배까지 대폭 강화된 새로운 보강근이다. 기존 철근의 장점인 부착성능은 제품 표면을 샌드코팅으로 처리해 보강했다.
KICT 박기태 박사는 “FRP 하이브리드 보강근을 해양·항만 구조물에 적용하면 수명이 100년 이상,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지관리 비용은 20%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존 철근이 보유하고 있는 탄성계수와 부착성능이 유사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