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포 22%·포스코 19%↑
철강·조선 업종의 시총증가율이 원자재 가격 반등 영향으로 가파른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금융정보제공업체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29일까지 코스피(유가증권) 상장사의 업종별 시가총액 증감률을 살펴본 결과 철강(12.90%)과 조선(11.44%)이 각각 1· 2위를 기록했다. 정유사를 포함해 수익성 악화에 시름 하던 에너지 업종의 시가총액 또한 두 달 사이 5.85%나 늘었다.
철강·조선 업종에 속한 개별 기업의 주가 등락률을 보면 현대미포조선(22.26%), 포스코(19.22%), 현대중공업(17.31%), 한국카본(12.60%), 현대제철(11.31%) 등이 상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렇게 분위기가 반전된 것은 원자재 가격이 반등했기 때문.
KTB투자증권에 따르면 올 들어 철광석과 열연 가격은 각각 10.8%, 5.9% 올랐다. 박현욱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철강 업체들의 감산은 철강 가격 반등과 구조조정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며 "지난 1월 하순 국내 철강 기업의 주가가 반등한 데 이어 2월에는 전 세계 주요 철강 업체들의 주가가 반등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