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서 미국 관세 이슈 긴급 회동…주요 경제단체·산업 협단체·기업인 등 참석
문신학 차관 “철강 등 업종별 영향 점검하고 피해 업종 지원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
철강 등 산업계 “미국 관세 불확실성 장기화에 어려움 커, 최대한 긍정적 결과 도출해야”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철강협회·자동차협회·배터리협회 등 협단체 관계자들과 포스코,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 기업인 등과 함께 ‘미 관세 조치 미관 합동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다. 정부와 기업, 협회는 “최상의 협상 결과 도출과 불확실성 확대 차단에 힘을 모으자”고 한목소리를 냈다.
8일, 산업부는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문신학 1차관 주재로 주요 경제단체 및 기업, 업종별 협회, 연구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 관세 조치 통보에 대응하여 「민관 합동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미국 행정부 우리 시각 8일 오전 1시, 서한으로 우리나라에 대해 8월 1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할 것을 예고했다. 지난 4월에 발표한 국가별 관세 발표에서 한국에 적용하겠다던 상호 관세율이 유지됐지만, 베트남 등이 20%로 우리나라보다 낮게 산정되는 등 다른 국가의 상황에 따라 우리 기업의 대미(對美) 수출에도 일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선 미국의 관세 조치가 우리 주요 산업 및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 소집됐다. 정부와 산업계, 기업은 미국 측이 8월부터 부과를 시작하겠다는 내용에 대해 추가 협상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보고 정보 공유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협의했다.
문신학 차관은 “정부는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상황에서 미 측과 남은 기간 동안 집중적인 협상을 통해 국익 최우선 원칙 하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상호 호혜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문 차관은 “철강과 자동차 등 업종별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피해 업종 지원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수출 기업 애로 지원과 수출 다변화 노력도 병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의 관세조치 장기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정부가 이를 엄중히 인식하고 8월 1일까지 미국 측과 협상을 타결하여 경영 불확실성을 완화해달라”고 재차 요청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산업부는 향후에도 대미 협상 및 업계 지원 대책 마련 과정에서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업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