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업 방식 상체 보조 슈트 기술 ㈜고이버에 이전, 제도 정비 과제도 병행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원장 직무대행 정구봉)은 농작업의 근력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웨어러블 로봇 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하고,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섰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은 KIRO 농업로봇자동화연구센터(센터장 조용준) 연구팀이 개발한 ‘고하중물 운반 및 적재 작업 보조를 위한 Roll-up 방식의 상체 보조용 웨어러블 슈트’로, ㈜고이버에 이전되어 제품명 ‘들봇(DEULBOT)’으로 사업화가 추진되고 있다.

‘들봇’은 고강도 와이어를 활용한 롤업(Roll-up) 방식의 웨어러블 장비로, 최대 20kg의 고하중을 보조할 수 있다. 원터치 작동과 무선 리모컨 기능, 등에 착용하는 가방형 구조로 10초 이내 빠른 착용이 가능하며, 배터리 교체형 설계로 장시간 작업에도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기술을 이전받은 고이버는 현재 제품화의 핵심 과제인 ‘규제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 ‘들봇’은 농업용 보조장비이지만, 현재 기존 농기계 분류 체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농기계 인증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대부분 정부 지원을 통해 보급되는 농기계 유통 구조에서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으며, 제품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표준 시험 절차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기계 인증 제도에 대한 해석 및 절차 정비, 규제 발굴 및 시험평가 기준 마련, 정부 지원 대상 편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다각적인 대응을 통해 제도 개선에 나서고 있다.
고이버 김정대 대표는 “고령화로 인해 농촌의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들봇은 농작업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제도 정비와 실증 확대를 병행해 실제 현장에 빠르게 보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구봉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장 직무대행은 “이번 기술이전은 KIRO 농업로봇자동화연구센터에서 자체 개발한 기술로, 실제 농업 현장에서 농민들의 삶을 바꾸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향후에도 실용적이고 현장 중심의 로봇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 및 제도화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전은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가 민간기업을 통해 실용화된 대표 사례로, 향후 농업용 웨어러블 로봇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국내 농업로봇 시장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