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소 주춤하던 인도 경제가 최근 5개월 연속 선행지수 상승세를 보이는 등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으나, 인도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여전히 많은 애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인도 CEPA(FTA)가 체결됨에 따라 향후 우리기업의 인도시장 진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며 對인도 투자확대도 예상된다.
[경영활동 주요 애로사항(%)]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이경태)은 주요업종의 인도시장 현황과 현지 진출기업의 애로를 조사, 향후 지원방안을 마련코자 『최근 인도의 경제현황과 현지 한국기업 애로사항 조사』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에 진출한 126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인프라 부족’이 가장 큰 애로사항(47.6%)이라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특히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전력(電力)’이라는 응답이 76.2%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도로 및 철도’가 21.4%인 것으로 집계됐다. 그 밖의 애로사항으로는 인허가 및 조세문제(19.0%), 부동산 임대료 등 입지환경 악화(14.3%), 원재료 부품 조달 어려움(7.1%)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기업들의 향후 인도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더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83.3%를 차지했으며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4.8%에 불과했다. 주요 개선 이유로는 ‘인도내수시장 확대’(35.7%)가 가장 많았고 ‘인도투자환경 개선’(31.0%), ‘인도와의 CEPA 체결’(21.4%)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보고서는 우리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한국기업 전용공단(구자라트 市)의 조속한 완공과 기존 산업지구안의 전용공단 추가 확보가 시급하며, 노사분규 사전 방지를 위한 기업의 노사 간 의사소통채널 확대 노력 및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인도시장 진출 전략으로 ▲소비자 니즈를 파악한 현지화 전략과 ▲인도의 건설시장 공략, ▲장래의 인구 및 소득구조를 감안한 판매전략 등을 권고했다. 특히 인도정부는 주택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년 2백만 개의 주택건설 계획과 함께 도로 및 철도 확장 등 거대 규모의 프로젝트를 발표한 바 있어, 이를 활용한 우리기업의 진출 확대가 기대된다.
차종혁기자/cha@sn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