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양국 가서명‥판재류 수출 확대 전망
한-터키 FTA 협정 체결을 위한 막바지 작업이 가속화됨에 따라 철강산업과 자동차산업이 수혜를 입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와 터키 양국은 지난 3월 26일 한·터키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간 한·터키 FTA 상품분야 협상 타결을 선언한 이후, 정상 임석 하에 한-터키 FTA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 가서명 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협정에 따라 7년 이내 모든 공산품의 관세가 철폐돼 양국간 교역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對터키 주력 수출품목 중 철강을 비롯해 철강 수요산업인 자동차, 자동차 부품, 전자, 기계 등이 중장기적으로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 2011년 對터키 10대 수출입품목 현황(단위:백만달러,%) | ||||||
| 
             수출품목  | 
            
             수입품목  | 
        |||||
| 
             품목명  | 
            
             금액  | 
            
             증가율(%)  | 
            
             품목명  | 
            
             금액  | 
            
             증가율(%)  | 
        |
| 
             1  | 
            
             자동차  | 
            
             687  | 
            
             26.5  | 
            
             석유제품  | 
            
             290  | 
            
             151.2  | 
        
| 
             2  | 
            
             합성수지  | 
            
             434  | 
            
             32.8  | 
            
             자동차부품  | 
            
             168  | 
            
             16.8  | 
        
| 
             3  |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 
            
             394  | 
            
             185.9  | 
            
             의류  | 
            
             41  | 
            
             20.1  | 
        
| 
             4  | 
            
             철강판  | 
            
             344  | 
            
             17.9  | 
            
             아연광  | 
            
             20  | 
            
             1,992.50  | 
        
| 
             5  | 
            
             자동차부품  | 
            
             333  | 
            
             -3.3  | 
            
             기호식품  | 
            
             16  | 
            
             29.1  | 
        
| 
             6  | 
            
             건설광산기계  | 
            
             265  | 
            
             76.5  | 
            
             기타비금속광물  | 
            
             13  | 
            
             -3.5  | 
        
| 
             7  | 
            
             철도차량및부품  | 
            
             222  | 
            
             106.7  | 
            
             정밀화학연료  | 
            
             12  | 
            
             58.4  | 
        
| 
             8  | 
            
             플라스틱 제품  | 
            
             165  | 
            
             62.4  | 
            
             가방  | 
            
             12  | 
            
             91.9  | 
        
| 
             9  | 
            
             합성고무  | 
            
             153  | 
            
             86.4  | 
            
             선재봉강및철근  | 
            
             10  | 
            
             66.8  | 
        
| 
             10  | 
            
             평판디스플레이및센서  | 
            
             151  | 
            
             33.4  | 
            
             농약및의약품  | 
            
             10  | 
            
             153.9  | 
        
| * 자료 : 무역협회, MTI 3단위 기준 | ||||||
철강제품, 자동차(관세율 10~22%) 및 자동차부품(3~4.5), 칼라TV(14) 등은 7년내 관세가 철폐된다. 특히 일본 등과 경쟁하고 있는 우리 주력 수출품목인 판재류(열연강판, 냉연강판, 아연도금강판 등)에 대한 관세 인하시 상당한 수출 증대가 기대된다.
철강산업에서 우리나라의 對터키 수출은 터키 전체 수입의 약 2%로 터키의 경제발전 단계를 감안할 때 수출 시장으로서 잠재력이 매우 크다.
철강 수요산업 전망도 밝아 이에 따른 간접 수혜도 기대된다.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은 완성차 및 자동차부품의 관세철폐에 따른 가격경쟁력 상승으로 對터키 수출이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1600cc 이하 중소형 저가차를 선호하는 터키의 자동차 수요구조(전체 승용차 시장의 90% 이상 점유)를 감안시 소형자동차의 관세 철폐로 직수출 확대가 기대된다.
가전산업은 아직 교역규모가 크지는 않으나, FTA 체결시 칼라TV, 냉장고 등 가전제품의 對터키 수출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산업도 건설광산기계, 금속공작기계 등 대부분의 일반기계 품목에 대한 관세(평균관세 2.4%)가 즉시 철폐됨에 따라 한-터키 FTA 발효시 수출 증대가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