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2016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전국 기업경기 전망이 81로 지난해보다 하락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400여 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한 ‘2016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기업경기전망지수는 기준치를 밑도는 81로 집계돼 지난 3분기(88), 4분기(87) 하락 전망을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유일하게 111로 기준치를 넘어섰다.
BSI는 100 이상 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 측은 중국 경기 둔화 전망과 함께 더딘 내수 회복이 전국 체감경기 하락세의 이유라면서도 최근 중국인 러시에 한국인의 ‘제주살이’ 열풍이 가미된 제주에 소비·투자 증가세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가 가장 먼저 체감경기의 봄을 맞이하고 있다는 얘기다.
또 지역별로 IT, 자동차 관련 기업이 많은 충청권 BSI는 89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지만, 부진을 겪고 있는 철강, 조선업체가 많은 호남권(77), 대구경북권(67)은 상대적으로 앞으로 경기를 어둡게 봤다.
수출 기업 BSI는 88로 지난 분기에 비해 1포인트 하락했으며, 내수 기업은 80으로 전 분기 대비 7포인트 떨어졌다. 대기업은 79로 중소기업(82)보다 낮았다.
중국 외에도 세계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이어지다 보니 제조기업들은 사업의 갈피를 잡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내년 사업계획을 세웠느냐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55.7%만이 ‘계획을 세웠다’고 했고 44.3%는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고 말했다. 미계획의 이유로 기업의 72.6%는 ‘불확실한 경제여건’을 꼽았다.
남재현 고려대 교수도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짙어 소비와 투자 모두 침체가 우려되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어려울수록 단기적 성과보다는 장기적 시계를 갖고 혁신에 나서야 하는 시기”라고 조언했다.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소비심리 회복’(38.2%), ‘규제 개선’(21.0%), ‘창조경제 활성화’(19.4%), ‘노동 개혁’(13.7%), ‘금융 개혁’(5.6%) 등을 차례로 꼽았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지난해 말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가 회복되는 움직임이 있었다”며 “투자와 생산 회복 본격화를 위해서는 내수 활성화 정책 지속과 새로운 해외 시장 개척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