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방식 선진화 추세, 송금 미수금 위험에 대비해야
최근 10년간 수출결제방식이 저비용 및 신속 결제를 선호하면서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수출결제방식의 변화와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약 10년 간 신용장(L/C) 거래는 43%(1997년)에서 16%(2009년)로 감소한 반면, 송금(T/T 등) 거래는 29%(1997년)에서 60%(2010년)로 증가해 수출결제방식이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국내 수출업체가 과거와 달리 리스크 보다는 거래비용 및 시간 절감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수출결제방식의 변화요인에 대한 수출업체 설문조사 결과, 수출업체가 L/C에서 송금거래로 결제방식을 전환한 가장 큰 원인은 ‘복잡한 절차 및 비용 부담(42.2%)’으로 나타났다. L/C거래시 은행의 지급보증을 통해 안전하게 대금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수료가 많고 대금회수 기간이 긴 단점이 있다.
실제로 신용장(L/C) 수출시 거래수수료는 전체 수출금액의 0.11%에 달하고 있으며, 대금결제기간도 약 2주가 소요되고 있다. 송금방식이 송금수수료 10,000원(0.01% 이하) 외 추가비용 없이, 전산으로 실시간 결제되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 은행의 높은 환가료 가산금리, 환율변동에 따른 환가료 급등 위험, 은행수수료 담합 인상 위험 등도 수출업체가 신용장(L/C) 거래를 기피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시간적, 비용적 거래 효율성을 위해 송금거래가 확대되고 있으나, 주로 선적 후 대금을 결제 받는 ‘사후송금’이 늘고 있어 수출미수금 발생에 대한 실무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송금 비중이 높은 중소 수출업체의 경우 더욱 적극적으로 수출보험을 이용할 필요가 있고, 수출미수금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사전 바이어 신용조사가 필수적이다. 또한 선적 전 50% 이상의 선수금 확보, L/C 복합결제, 해외지사를 통한 동시결제방식(COD/CAD) 등도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외 소액의 경우, 신용카드로 신속한 결제가 가능하고 수출보험 혜택이 있는 소액결제제도(KOPS)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홍지상 연구원은 “수출보험에 비해 신용조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저조한 만큼 신용조사 비용에 대해 향후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며 “최근 원자재 및 환율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수출기업은 결제방식 최적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채산성과 해외마케팅 역량을 제고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