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대외안정성 측면에서 한국을 일본보다 우위로 평가했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최근 펴낸 대외부문(External Sector) 보고서에서 주요 28개 회원국의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성 수준을 경상수지 흐름, 실질실효환율(REER) 지표로 평가했는데, 두 지표 모두 한국은 상위권에 오른 반면 일본은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IMF는 경상수지 부문에서 한국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1~4%가량의 흑자를 유지, 독일(4~5%) 스웨덴(2~4%) 등과 함께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평가했다. 반면 일본은 IMF가 산출한 적정 수준보다 GDP 대비 1~2% 부족한 것으로 평가돼 이탈리아, 터키 등과 같은 그룹으로 분류됐다.
REER 부문에서도 한국은 대외안정성이 높은 상위 그룹에 속했다. IMF는 물가 수준을 감안한 한국의 REER이 기초체력을 반영한 적정 수준보다 최대 10%가량 저평가된 것으로 분석한 뒤 독일, 스웨덴, 중국 등과 같은 그룹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일본 엔화는 적정수준 대비 최대 10%가량 고평가된 것으로 분석됐다.
환율 변동성과 외환시장 자유도 부문에서는 한국과 일본 모두 외환시장이 개방되고, 2007년 이후 5년간 환율 변동성이 중간 수준(0.05%~1%)인 국가로 분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