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성균관대, 초고해상도 현미경 개발

포스텍-성균관대, 초고해상도 현미경 개발

  • 연관산업
  • 승인 2017.05.30 15:10
  • 댓글 0
기자명 김도연 kimdy@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텍(총장 김도연)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 성균관대학교 김윤석 교수를 중심으로 한 공동연구팀이 원자간력 현미경에 레이저 시스템을 결합해 8나노미터(nm)의 해상도로 시료의 고유 빛 흡수 특성을 관찰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가시영역 광활성 원자간력 현미경(pAFM)을 개발했다.

  새로운 반도체 소재 분야나 암을 이겨낼 신약 개발 분야에는 머리카락 10만분의 1에 불과한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에 대한 연구가 이미 필수가 되었지만 실험실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은 회절한계 때문에 이에 활용되지 못했다. 바이러스의 존재를 밝혀낸 것 역시 광학현미경이 아닌 전자현미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2014년 노벨화학상의 주인공이었던 초고해상도 형광 현미경의 경우 해상도를 수십 나노미터(nm)까지 끌어올렸지만 특정한 형광 물질에 국한되거나 생체시료에 적절치 않은 형광 조영제를 사용해야 했다.

  또 수 나노미터(nm)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 현미경은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시료의 특수 처리도 번거롭고 비용이 비싸 실험에 활용하기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기존 현미경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물질의 표면 높이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원자간력 현미경에 레이저 시스템을 결합, 빛의 특성을 이용해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원자간력 현미경을 그대로 활용해 비용은 저렴하면서도 시스템 설계가 간단하고 특수 처리나 조영제가 따로 필요치 않아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김철홍 교수는 "이 현미경을 이용하면 금 나노 입자, 나노선, 흑색종 세포, 애기장대 세포 등의 이미지를 나노미터 크기의 해상도로 얻을 수 있다며 향후 소형 반도체, 신약 개발 등 신소재, 생물학, 화학 분야 연구에 활발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IT명품인재양성사업,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 사업 그리고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