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GA 프로젝트 지렛대 역할 가능”
정부가 미국의 철강 수입 관세에 관해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미 조선업 협력(MASGA 프로젝트) 과정에서 한국산 철강이 사용되는 만큼 이를 협상의 도구로 삼을 수 있다는 복안이다.
23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한미 관세 합의와 후속 과제에 관해 인터뷰하며 이번 합의에선 철강·알루미늄 50% 관세가 유지됐지만 여전히 협상의 여지는 존재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소득없이 끝난 철강·알루미늄 관세 협상에 관해 “이번에 가장 안타깝고 국력의 한계를 느꼈던 부분”이라며 “미국의 기본 입장은 한국만 50%가 아니라 모두 50%니 한국에만 예외를 줄 수 없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국, 미국간 조선업 협력, 즉 MASGA 프로젝트가 재협상의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조선업의 경우 우리 철강을 많이 사용하게 될 텐데 미국 배를 건조하는데 철강 관세가 50%면 그만큼 뱃값이 오른다”며 미국 배의 가격 경쟁력 약화가 미국을 설득할 논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철강을 살리기 위해 정부뿐만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조선업이 사라졌던 것처럼 한국 철강도 절체절명의 위기라고 생각한다”며 “철강은 우리 산업의 기초 소재로 철강은 반드시 지켜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상임위를 통과한 K스틸법을 언급하며 “이와 같은 노력들이 조금 더 빨리빨리 좀 나왔으면 좋겠다”며 정치권이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달라고 부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