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리 수급전망-강관> 2012년 하반기부터 수요 회복

<포스리 수급전망-강관> 2012년 하반기부터 수요 회복

  • 포스리 전망 2011년 4분기
  • 승인 2011.10.27 07:00
  • 댓글 0
기자명 김덕호 dhki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리가 내년 강관시황은 상반기 부진, 하반기 회복세를 보이며 올해 대비 내수와 수출이 각각 4.3%, 10.3%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리는 수급전망을 통해 올 하반기부터 이어지는 글로벌 경제 부진으로 대내외 수요가 위축, 내수가 줄어들고 수입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봤으며 현 상황이 2012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 하반기 전망

  포스코경영연구소(소장 김준한, 이하 POSRI)는 27일 발표한 수급전망 보고서를 통해 2011년 하반기 강관 내수는 수요산업 전반의 둔화와 7,8월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건설산업 부진이 이어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같은 추정은 올 하반기 호우로 인한 건설현장 공사 중단과 주택건설 시장 부진으로 인한 건설산업 침체 영향이 반영된 것이다.

  하반기 강관 수출은 주력 수출 품목인 송유관 및 유정관의 경우 미국의 중국산 강관 무역제재에 따른 반사이익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유럽과 미국의 부채문제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 석유, 가스개발이 지속되면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강관수입은 저가 물량의 수입이 이어지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건설산업 부진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강관 생산도 내수부진 및 수출 둔화로 전년비 3.8%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봤다.

  ■ 2012년 전망

  2012년 강관 내수는 건설산업의 부진이 상반기까지 이어지겠으나 하반기 회복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4.3%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 내수는 저축은행 사태에 따른 건설사의 유동성 위험으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0.3%의 감소를 보일 것으로 봤다.

  강관수출은 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미국과 중동지역에서의 유전개발이 지속되면서 송유관 및 유정관 수출은 증가세를 보이겠으나 미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디

  강관 수입은 건설산업 부진이 지속됨에 따라 상반기 감소, 하반기 소폭증가를 예상했으며 강관생산은 하반기 글로벌 경제 개선으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생산도 함께 늘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포스리 수급전망>

 

 

 

 

 

 

 

 

 

 

 

 

 

 

 

2010

2011

2012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총수요

천톤

5,449

1,400

1,516

2,915

1,371

1,476

2,847

5,762

1,470

1,566

3,036

1,538

1,578

3,117

6,152

전년비

25.2

11.3

0.4

5.4

9.3

3.3

6.1

5.7

5

3.3

4.1

12.2

6.9

9.5

6.8

전기비

25.2

-2

8.3

8.7

-9.5

7.7

-2.3

5.7

-0.4

6.5

6.6

-1.7

2.6

2.7

6.8

명목

소비

천톤

3,502

890

891

1781

751

872

1623

3404

882

894

1776

862

912

1,774

3550

전년비

6.6

0.2

-10.5

-5.5

3.3

-2.1

0.3

-2.8

-0.9

0.3

-0.3

14.7

4.6

9.3

4.3

전기비

6.6

-0.1

0.1

10.1

-15.7

16.1

-8.8

-2.8

1.1

1.3

9.4

-3.6

5.9

-0.1

4.3

수출

천톤

1,947

509

625

1134

620

604

1223

2358

588

672

1260

677

666

1343

2603

전년비

82.7

38.1

21.6

28.5

17.7

12.3

15

21.1

15.4

7.6

11.1

9.2

10.3

9.7

10.4

전기비

82.7

-5.2

22.6

6.6

-0.8

-2.6

7.9

21.1

-2.6

14.4

3

0.7

-1.6

6.5

10.4

생산

천톤

4,855

1,238

1,310

2,547

1,178

1,274

2,452

4,999

1,305

1,346

2,650

1,320

1,366

2,686

5,337

전년비

24.3

8.5

-3.2

2.1

6.9

1.1

3.8

3

5.4

2.8

4.1

12.1

7.2

9.5

6.7

전기비

24.3

-1.8

5.8

7.9

10

8.2

-3.7

3

2.4

3.1

8.1

-1.9

3.5

1.4

6.7

수입

천톤

594

162

206

368

193

202

395

763

165

220

385

218

212

430

816

전년비

33.9

38.2

32.4

34.9

26.7

19.8

23.1

28.5

2.1

6.8

4.7

13.1

5.2

9.1

7

전기비

33.9

-3.8

27.4

14.8

-6.4

4.4

7.2

28.5

-18

33.2

-2.3

-0.8

-2.9

11.7

7

: '11 3/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