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상해진출 韓기업, 현지 물류활동 애로 겪어

中 상해진출 韓기업, 현지 물류활동 애로 겪어

  • 철강
  • 승인 2012.07.16 15:22
  • 댓글 0
기자명 옥승욱 swok@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협, 새로운 공동물류센터 운영 전략 제시
복잡한 물류절차, 전문물류기업 부재등이 요인

  중국 상해지역에 진출한 한국 중소화주 기업 10개중 7개 기업은 복잡한 통관절차나 전문물류기업 부재로 현지 물류활동에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회장 한덕수)와 상해한국상회가 상해지역 500여개 중소화주 사업장을 대상으로 물류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통관절차(43%), 전문 물류관리 서비스 부족(23%), 창고부족(21%)가 최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상해는 국내 화주 및 물류기업의 최다 진출 지역임을 감안할 때, 가장 기본적인 현지 물류지원 서비스 사항들이 애로로 지적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편 응답 기업 중 60%가 중국현지 물류기업을 주요 파트너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물류기업을 이용하는 사업장은 2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상해 진출 대다수 한국물류기업이 단순 운송주선 중심의 업무를 취급하고 있어 현지 시설 및 장비 운용은 파트너인 중국 물류기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한국 물류기업의 사업범위 다각화가 시급한 과제로 드러났다.

  현지 중소화주의 물류관리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응답기업의 76.5%가 공동물류센터 이용 의사를 밝혔으며 임대료 수준(40%), 생산지와의 접근성(20%), 물류센터 서비스(18%) 등을 입주 결정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공동물류센터에 희망하는 서비스로는 통관지원(43.2%), 보관(25%), 전체 물류관리(24%) 등을 꼽았다.

  무협 이병무 물류협력실장은 “한정된 물류센터 자원으로 다양한 화주의 요구와 서비스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기존 공동물류센터와 차별화된 운영전략이 필요하다”며, “특히 회전율이 높은 품목 및 업종에 해당하는 화주의 우선 유치를 통해 물류센터 운영의 선순환구조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