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硏, 임지수 연구위원 주장
한국도 셰일가스 수입ㆍ개발 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임지수 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17일 “장기적으로 셰일가스는 세계 에너지 공급의 중요한 한 축”이라며 “우리나라 기업들도 다양한 형태의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셰일가스란 장기간 모래·진흙이 굳어 만들어진 암석층에서 발견되는 천연가스로 미국, 중국 등지에서 발견되며 매장량이 석유와 비슷해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셰일가스 생산으로 북미 천연가스 가격은 국제가격의 1/3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역외 수출이 금지돼 아직 세계 천연가스ㆍ석유 시장에 큰 영향은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임 연구위원은 “미국이 셰일가스 수출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각국이 셰일가스 개발을 확대한다면 우리나라와 같은 가스 수입국에는 기회 요인이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세계에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이고 한국가스공사는 단일기업으로는 가장 큰 LNG수요기업이다. 그럼에도 공급국가가 중동ㆍ아프리카 등 일부에 편중돼 그동안 구매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투자자로서 셰일가스 생산업체는 눈여겨볼 만하다. 미국 생산기업들이 생산비용에 근접하는 가스 가격으로 투자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자원 인수ㆍ합병에 가장 적극적인 중국기업들은 한 발 먼저 뛰어들었다.
임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기업들은 사업 경험도 없고 위험을 꺼려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인다”며 “우리도 중장기적 기술학습 효과를 고려해 투자 컨소시엄을 구성, 참여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