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안전망 강화·금속자원 비축범위도 넓혀
비축인프라도 개선
조달청은 올해 신규 비축규모를 확대함으로써 원자재 수급의 안전망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경기회복에 따른 원자재 가격 회복세를 염두, 비축량을 적극적으로 확대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16일 조달청에 따르면 신규 비축계획은 지난해 실적인 5,628억원에서 24% 증가한 7,000억원으로 정했다. 방출은 5,500억원 수준에서 운영할 계획이다.
이 경우 원자재 비축규모는 지난해말 49일에서 2013년말 54일로 증가, 전기동의 경우 연간 수입수요의 14%를 충당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동의 목표 비축량(80일)을 확보할 경우 연간 수입수요의 22%까지 충당할 수 있다.
아울러 방산물자용 특수금속, 희유금속 비축품목 추가 등 비축 품목․규격도 다양화해 수급안정이 필요한 광범위한 금속자원의 비축범위도 넓혀나갈 계획이다.
조달청은 이를 위해 지난해에 처음 도입된 민관공동비축을 활성화시켜 정부비축을 보완하는 새로운 비축모델로 정착시킨다는 구상이다.
한편 비축규모 및 외연 확대 등에 따라 비축인프라도 이에 걸맞게 개선한다.
인천․부산 비축기지 등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첨단시설의 비축창고를 신축(123억원)하고,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품목별 특성에 맞게 비축물자 보관·관리시스템도 개선한다.
지난해 국내 9개 비축기관으로 구성한 비축기관협의체를 실질적인 국가비축 통합조정기구로 발전시킨다는 복안이다.
조달청 관계자는 "올해에는 양적인 성장과 질적 발전을 병행 추진해 빈틈 없이 최적화된 원자재 위기대응체계를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춰 비축사업을 운영할 것"이라며 "수급불안 발생시에는 비축원자재를 적기에 저렴하게 방출해 안정적 경제활동과 물가안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