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해양플랜트 기자재 '표준화·국산화' 추진

조선업계, 해양플랜트 기자재 '표준화·국산화' 추진

  • 수요산업
  • 승인 2015.12.04 10:21
  • 댓글 0
기자명 송규철 gcso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표준 없어 잦은 설계변경... 수익성 악화
비용절감, 공기단축, 동반성장 이룰 수

 정부와 조선업계가 해양플랜트 기자재의 표준화·국산화를 통해 해양플랜트 경쟁력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조선 빅3(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포함 조선업계 21개 기업은 3일 부산 녹산공단에 모여 해양플랜트 생산·상세 설계 분야의 표준 40여 종을 개발해 국제표준으로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현대중공업이 표준화위원회 의장사(社)를 맡아 이 작업을 진두지휘한다. 표준개발 과정에는 발주사, 엔지니어링사 등 이해당사자를 참여시켜 이미 수주한 공사에도 곧바로 결과물을 적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조선업계는 지난 10월 13일 미국 휴스턴에서 쉐브론 등 발주사, 테크닙 등 엔지니어링사 등과 표준 개발 분야에서 협력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정부는 현재 조선 빅3, 중소 조선 기자재업체와 해외 발주처·엔지니어링 업체 등 사이의 소통을 지원하고 있다. 내년 초까지는 빅3가 개발한 10종의 표준안에 대해 싱가폴과 미국 휴스턴에서 발주사 등 이해당사자를 대상으로 홍보를 진행할 계획이며 세부계획이 확정되면 중소 기자재업체 자금지원 및 기술개발(R&D) 등 대규모 투자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와 우리 조선업계가 기자재 표준화·국산화에 집중하는 것은 실적 악화와 관련이 깊다. 국제 표준이 없는 해양플랜트 분야에 준비없이 뛰어든 조선업계는 기본설계를 테크닙 등에, 드릴 등 핵심 기자재는 NOV, MHWirth 등에 맡기는 식으로 해외업체들에 의존해 왔다. 그러다 보니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공사 지연, 기자재 조달 비용 과다 투입 등으로 프로젝트 진행에 난항을 겪었다.

 국표원측은 표준화가 이뤄지면 단위 사업별로 해양플랜트 제작 비용을 200억원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온재·밸브·케이블 등 기자재 조달 비용이 절감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에도 무게가 실린다. 20% 수준의 기자재 국산화율을 끌어올리면 획기적인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기자재 제조업체들이 대부분 중소 협력업체인 만큼 함께 성장할 수도 있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이 국산화위원회 의장사를 맡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 초 성동조선해양 등 국내 6개 조선업체에 액화천연가스 추진 선박(LFS)의 핵심 설계·엔지니어링 기술 127건을 이전하는 등 동반성장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낸 경험이 있다.

 임헌진 국표원 기계소재표준과장은 "국내 조선 및 기자재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합심해 표준화·국산화에 나선 만큼 해양플랜트 사업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